카테고리 없음

야구에서 투수들의 평균자책점은 어떻게 계산할까?⚾️🧮

레드향귤 2025. 3. 22. 18:44
728x90




평균자책점은 어떻게 계산할까?

- 2025 프로야구 개막전, 이호성 선수 기록으로 직접 계산해보기!

야구를 보다 보면 자주 듣게 되는 말 중 하나가 바로 **평균자책점(ERA)**입니다.
그런데 오늘(2025년 3월 22일), 삼성 라이온즈와 키움 히어로즈의 2025 시즌 개막전을 보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.

“어? 이호성 선수의 평균자책점이 왜 이렇게 높지?”
기록을 확인해보니 ERA가 무려 18.00이라는 수치가 보이더라고요.
그래서 도대체 평균자책점은 어떤 기준으로 계산되는지 궁금해졌고, 그 궁금증을 풀기 위해 오늘 이 글을 써보게 되었습니다.



평균자책점(ERA)이란?

평균자책점은 투수가 9이닝(한 경기 기준) 동안 평균적으로 얼마나 많은 자책점을 허용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.
여기서 ‘자책점’이란 수비 실책 없이 투수 본인의 책임으로 내준 점수를 뜻하죠.



계산 공식은?

ERA = (자책점 ÷ 투구 이닝) × 9

간단한 공식이지만, 실제 기록을 바탕으로 계산해보면 훨씬 이해가 쉬워집니다.



오늘 이호성 선수의 기록으로 계산해보자!
• 투구 이닝: 1이닝
• 자책점: 2점

공식에 대입해 보면,

ERA = (2 ÷ 1) × 9 = 18.00

즉, 이호성 선수는 오늘 경기에서 평균자책점 18.00이라는 기록을 남기게 된 거예요.



마무리하며

시즌 개막전이라 기대도 컸고 긴장도 많았을 텐데, 투수에게는 다소 아쉬운 출발이었을 수도 있겠네요.
하지만 평균자책점은 시즌이 길어질수록 점점 조정되니까, 앞으로의 활약을 더 기대해봅니다!

오늘 이렇게 ERA를 직접 계산해보면서, 평소엔 그냥 숫자로 보이던 지표가 훨씬 더 의미 있게 다가오네요.
야구를 더 깊이 있게 즐기고 싶다면, 이렇게 직접 계산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아요!





728x90